PCB 설계 시,
배선 폭(Width)은 가끔씩 배선 두께로 불리기도 하지만 엄밀히 따지면 배선 폭(width)이 맞다.
배선 두께는 Thickness로서 동박(copper)의 두께이다.
배선폭이 넓을 수록 전류를 많이 흘릴 수 있다.
같은 배선폭이라도 두께가 두꺼울 수록 전류를 많이 흘릴 수 있다.
배선을 입체적으로 봤을 때 단면적이 넓을 수록 허용 전류량은 크다.
단면적이 넓으면 저항이 작다. 저항이 작으면 전류는 많이 흐른다.
보통 PCB를 보면 배선 폭이 여러가지이다. 얇은 배선이 있고 넓은 배선이 있다.
일반 신호선은 흐르는 전류량이 적기 때문에 얇게 배선한다.
일반 신호선이라고 하는 것은 MCU의 GPIO 같은 digital 신호선을 말한다.
전원선은 흐르는 전류량이 많기 때문에 넓게 배선한다. 단순히 두껍게 배선한다 라고도 표현한다.
전원선은 +12V, +5V, +3.3V, GND 같은 것들을 말한다.
일반 신호선은 0.127mm ~ 0.3mm 사이에서 배선한다. 부품 집적도, 회로특성, 설계자 기분 등 여러 조건에 따라 다르다.
전원선은 회로의 전류량을 알아야 적절히 배선폭을 결정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전류 1암페아는 1mm 두께로 배선하는 걸로 인식되어 있다.
배선폭에 대해 구체적으로 파고들어가면 임피던스, 노이즈 등 여러 고려사항에 따라 배선 방법이 까다롭게 있다.
까다로운 임피던스나 노이즈는 제쳐두고 복잡하지 않게 간단히 요약하면,
신호선은 얇게, 전원선은 두껍게 배선한다.
.
.
여호와여, 주의 이름을 아는 사람들은 모두 주님을 믿고 의지할 것입니다.
왜냐하면 주님은 주님께 오는 자들을 저버리지 않으시기 때문입니다.
'PCB 설계 > PCB설계-배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PCB 배선 이격 거리 IPC-2221A (0) | 2023.03.03 |
---|